Sehan news

109//
김혜원 2023.02.22 추천 0 조회 971
세한대학교(총장 이승훈)가 재학생들의 체계적인 진로·심리상담을 수행하고자 교원 30명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사 1급 자격취득 과정을 실시했다. 한국능률협회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심리상담사 1급 자격과정은 교원의 심리상담 강화를 통해 심리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재학생들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불안감을 해소하고,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해 실시하였다. 심리상담사 1급 과정은 심리상담 개요, 심리상담자의 필요 능력, 주요 상담이론, 상담에서의 심리검사 활용, 주요 상담과정과 필요 스킬, 상담 종합 실습 등으로 재학생들의 심리상담 지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내용으로 진행됐다. 비대면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실시한 이번 자격과정은 2월 6일부터 19일까지 2주간 세한대학교 영암•당진 캠퍼스 30명의 교수들이 참여하였고, 30명 전원이 합격하여 심리상담사 1급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이들은 구체적인 사례중심의 심리상담 교육과정을 통해 실제 학생상담이 가능한 이론과 스킬을 습득하였고, 유연한 상담을 하는 데에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한편, 기획처장 이동수 교수는 “평생지도교수제를 통해서 학생들의 심리상담 지도에 적극적으로 앞장서 온 세한대학교 교원들이 이번 자격증과정을 통해서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학생 상담지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학생들의 심리유형에 따른 상담스킬 습득, 심리상담을 통한 교수자와 재학생의 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과정을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김혜원 2023.02.28 추천 0 조회 984
2023년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선정결과 발표 - 15개 시·도, 총 30개 사업단 선정(3.2) -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월 27일(금)부터 30일 간 전국 단위 공모와 심사를 거쳐 3월 2일(목), 15개 시․도에서 활동할 2023년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이하 ‘청년사업단’) 30개를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정부는 청년에게 사회참여 및 역량 강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맞춤형 사회서비스를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 대학(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등이 서비스 제공인력의 70% 이상을 청년으로 구성하여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경우, 공모를 통해 ‘청년사업단’으로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각 지자체가 복지부 표준모델을 기반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서비스를 개발·제공하는 사업, ‘23년 2월 말 기준 356개 서비스 제공 중 □ 보건복지부는 2023년 청년사업단 선정을 위해 외부 전문가 및 청년 등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 시․도의 1차 심의를 거친 사업단에 대해 사업계획의 충실성, 서비스의 내용 및 제공방식, 수행 능력 전반 등을 평가하여 30개 사업단을 최종 선정하였다. □ 2023년 청년사업단 선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 지역별로는 15개 시․도에서 시․도별 1~4개의 사업단이 선정되었다.  ○ 제공하는 서비스 분야별로는 청년마음건강지원 서비스 제공 사업단이 6개, 청년신체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사업단이 13개, 2023년 신규   서비스인 초등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단이 10개, 지역과 사업단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단이 1개 선정되었다.   ○ 특히, 사회서비스 고도화의 일환으로 신설된 ‘초등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단 10개가 선정되어 지역 청년의 사회참여를 촉진함과 동시에 지역 주민의 돌봄부담 경감에 기여할 예정이다.  < 2023년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선정결과 > 참여 분야 기관명 청년마음건강지원 신라배움나눔공동체, ㈜김태우심리언어연구소, 건양사이버대학교, 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 세종센터, 상지대학교, ㈜보듬 청년신체건강증진 동서대학교, 월성종합사회복지관, 헬스케어휘트니스센터,  조선대학교, 대전대학교, 우송대학교, 남서울대학교, 한서대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연구원, 목포과학대학교, 경북대학교, 희망복지사회적협동조합, 국민체력센터ES코칭 초등돌봄서비스 동주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엠커뮤니티, 임신과육아가행복한세상, 에셀나무, 꾸물, 청주대학교, 선린공동체,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원대학교 자체개발서비스 세한대학교   □ 선정된 청년사업단은 3월 중 시․도와 협약을 체결한 후, 지역사회서비스 지원단의 컨설팅, 자문 등을 통해 사업계획을 구체화하고, 인력 채용, 제공기관 등록 등 서비스 제공 준비에 본격 착수한다.  ○ 3월 중순부터 사업단별로 서비스 제공인력 채용 절차가 진행될 계획으로 구체적 채용계획 및 자격 기준은 각 사업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 정책>사회서비스>사회서비스사업>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에 청년사업단 대표번호 게시 예정(’23.3.13일~) □ 청년사업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지역 주민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서비스 종류와 내용, 대상자 기준 등을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다.   ○ 청년마음건강지원 및 청년신체건강증진 서비스의 경우 청년 대상 서비스로 3개월간, 월 24만~28만 원 수준의 1:1 전문 심리상담 또는 맞춤형 운동 처방 서비스가 제공된다. 본인부담금은 서비스 가격의 10%이다.  ○ 초등돌봄 서비스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경우 이용가능하며 5개월간, 월 24만~26만 원 수준의 학습․동행 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소득 수준에 따라 서비스 가격의 5~100%를 본인이 부담하고 이용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김혜진 사회서비스정책관은 공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준 모든 기관과 지자체에 감사를 표하며,   ○ “청년사업단을 통해 많은 청년들이 사회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며 역량을 강화하고 삶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동시에 지역 주민의 삶의 질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5205
김혜원 2023.03.02 추천 0 조회 1024